베트남의 연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의 연호는 베트남 역대 왕조에서 사용된 고유한 연도 표기 체계이다. 전 리 왕조, 딘 왕조, 전 레 왕조, 리 왕조, 쩐 왕조, 호 왕조, 후 쩐 왕조, 후 레 왕조, 막 왕조, 떠이선 왕조, 응우옌 왕조 등 각 왕조는 고유한 연호를 사용했으며, 각 연호는 왕조의 통치 기간을 나타낸다. 1945년부터 1967년까지 베트남 민주 공화국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1967년부터 현재까지는 서력을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시간 - 베트남 표준시
베트남 표준시는 UTC+07:00을 사용하며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전쟁으로 표준시가 변경되었고, 통일 후 UTC+07:00을 채택하여 현재까지 사용하며 일광 절약 시간제는 시행하지 않는다. - 베트남의 시간 - UTC+07:00
UTC+07:00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남극 일부에서 사용되는 표준시로, 몽골 서부, 인도네시아 서부,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베트남, 크리스마스섬, 러시아 일부 지역 등에서 사용되며 과거에는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거나 시간대가 변경되었고, 시간대 경계는 지리적 경도와 일치하지 않고 정치, 경제, 행정적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 베트남의 연호 - 타이빈 (연호)
타이빈은 970년부터 980년까지 베트남 딘 왕조에서 사용된 연호로, 980년 전 레 왕조 건국과 함께 티엔푹으로 변경되었으며, 당시 북송에서는 개보와 태평흥국 연호가 사용되었다. - 베트남의 연호 - 티엔응
티엔응은 1516년에 사용된 연호이며, 병자년에 해당하고, 후 레 왕조에서는 홍순 8년 또는 광소 원년에, 명나라에서는 정덕 11년에 해당한다.
베트남의 연호 | |
---|---|
명칭 | |
명칭 | 연호 (年號) |
베트남어 | Niên hiệu (니엔 히에우) |
개요 | |
정의 | 베트남에서 사용된 연도 식별 체계의 첫 번째 요소 |
특징 | 연호를 통해 해당 시대를 특정할 수 있음 |
관련 용어 | niên kỷ (年紀) |
역사 | |
기원 | 중국의 연호(年號)에서 유래 |
사용 국가 |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 |
베트남 최초의 연호 | 리 남 데(Lý Nam Đế)의 Thiên Đức(天德) 연호 (544년 ~ 546년) |
사용 중단 | 응우옌 왕조의 Bảo Đại(保大) 연호 이후 중단 (1945년) |
구성 요소 | |
요소 1 | Niên hiệu(年號) (연호) |
요소 2 | Niên kỷ(年紀) |
2. 전 리 왕조
전 리 왕조는 베트남 최초의 독립 왕조로,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 리 왕조는 리비가 544년부터 548년까지 티엔득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5]
2. 1. 리남제 (Lý Nam Đế)
'''티엔득'''(Thiên Đức)은 전 리 왕조의 개창자인 리비(Lý Bí)가 사용한 연호이다. Thiên Đức|천덕|天德vi 또는 Đại Đức|대덕|大德vi이라고 쓴다. 544년부터 548년까지 5년 동안 사용되었다.[5]연호 | 사용 기간 | 사용 기간(년) | 비고 |
---|---|---|---|
티엔득(Thiên Đức) | 544년 ~ 548년 | 5년 | 또는 대덕(Đại Đức) |
딘보린(丁部領)은 970년부터 980년까지 타이빈(太平)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타이빈은 베트남어로 Thái Bình이라고 쓴다. 딘 왕조는 베트남을 통일하고 황제를 칭하며 본격적인 독립 왕조의 기틀을 마련했다.[5]
前黎朝vi는 딘 왕조를 이어받아 베트남의 독립을 유지하고 발전시킨 왕조이다.
쩐 왕조는 몽골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막아내고 베트남의 독립을 지켜낸 왕조로, 문화적으로도 융성했던 시기로 평가받는다. 쩐 왕조의 연호는 다음과 같다.
호꾸이리는 1400년 음력 2월 28일(3월 23일)부터 1400년 음력 12월 29일(1401년 1월 13일)까지 타인응우옌(Thánh Nguyên, 聖元, 성원) 연호를 사용했다.[5]
후 쩐 왕조는 명나라의 지배에 저항하며 쩐 왕조의 부흥을 꾀했던 시기이다.
후 레 왕조는 베트남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존속한 왕조로, 전기와 후기로 나뉜다. 후 레 왕조 시기에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5]
3. 딘 왕조 (丁朝)
4. 전 레 왕조 (前黎朝)
황제 사용년도(음력/양력) 연호 이름 베트남어 한글 한자 년수 레 대행제(黎大行帝) 980년 7월 7일(8월 19일) ~ 988년 12월 30일(989년 2월 8일) 티엔푹 Thiên Phúc 천복 天福 9년 989년 1월 1일(2월 9일) ~ 993년 12월 29일(994년 2월 12일) 흥통 Hưng Thống 흥통 興統 5년 994년 1월 1일(2월 13일) ~ 1007년 12월 30일(1008년 2월 9일) 응티엔 Ứng Thiên 응천 應天 14년 레 중종(黎中宗) 레 와조제(黎臥朝帝) 레 와조제(黎臥朝帝) 1008년 1월 1일(2월 10일) ~ 1009년 12월 30일(1010년 1월 17일) 까인투이 Cảnh Thụy 경서 景瑞 2년
5. 리 왕조 (李朝)
황제 연호 사용 기간(음력) 베트남어 한자 년수 리 태조 투언티엔 1010년 1월 ~ 1028년 3월 Thuận Thiênvi 順天 19년 리 태종 티엔타인 1028년 3월 ~ 1034년 4월 Thiên Thànhvi 天成 7년 통투이 1034년 4월 ~ 1039년 6월 Thông Thụyvi 通瑞 6년 깐푸흐우다오 1039년 6월 ~ 1042년 9월 Càn Phù Hữu Đạovi 乾符有道 4년 민다오 1042년 10월 ~ 1044년 10월 Minh Đạovi 明道 3년 티엔깜타인부 1044년 11월 ~ 1049년 2월 Thiên Cảm Thánh Vũvi 天感聖武 6년 숭흥다이바오 1049년 3월 ~ 1054년 10월 Sùng Hưng Đại Bảovi 崇興大寶 6년 리 성종 롱투이타이빈 1054년 10월 ~ 1059년 6월 Long Thụy Thái Bìnhvi 龍瑞太平 6년 쯔엉타인자카인 1059년 6월 ~ 1066년 1월 Chương Thánh Gia Khánhvi 彰聖嘉慶 8년 롱쯔엉티엔뜨 1066년 2월 ~ 1068년 2월 Long Chương Thiên Tựvi 龍彰天嗣 3년 티엔후옹바오뜨엉 1068년 2월 ~ 1069년 7월 Thiên Huống Bảo Tượngvi 天貺寶象 2년 턴부 1069년 7월 ~ 1072년 1월 Thần Vũvi 神武 4년 리 인종 타이닌 1072년 1월 ~ 1076년 4월 Thái Ninhvi 太寧 5년 아인부찌에우탕 1076년 4월 ~ 1085년 2월 Anh Vũ Chiêu Thắngvi 英武昭勝 10년 꽝흐우 1085년 2월 ~ 1092년 8월 Quảng Hựuvi 廣佑 8년 호이퐁 1092년 8월 ~ 1100년 12월 Hội Phongvi 會豊 9년 롱푸응우옌호아 1101년 1월 ~ 1109년 12월 Long Phù Nguyên Hoávi 龍符元化 9년 호이뜨엉다이카인 1110년 1월 ~ 1119년 12월 Hội Tường Đại Khánhvi 會祥大慶 10년 티엔푸주에부 1120년 1월 ~ 1126년 12월 Thiên Phù Duệ Vũvi 天符睿武 7년 리 인종 티엔푸카인토 1127년 1월 ~ 1127년 12월 Thiên Phù Khánh Thọvi 天符慶壽 1년 리 신종 티엔투언 1128년 1월 ~ 1132년 12월 Thiên Thuậnvi 天順 5년 티엔쯔엉바오뜨 1133년 1월 ~ 1138년 9월 Thiên Chương Bảo Tựvi 天彰寶嗣 6년 리 영종 티에우민 1138년 10월 ~ 1140년 2월 Thiệu Minhvi 紹明 3년 다이딘 1140년 2월 ~ 1162년 12월 Đại Địnhvi 大定 23년 찐롱바오응 1163년 1월 ~ 1174년 2월 Chính Long Bảo Ứngvi 政隆寶應 12년 티엔깜찌바오 1174년 2월 ~ 1175년 12월 Thiên Cảm Chí Bảovi 天感至寶 2년 리 고종 찐푸 1176년 1월 ~ 1186년 7월 Trinh Phùvi 貞符 11년 티엔뜨자투이 1186년 7월 ~ 1202년 8월 Thiên Tư Gia Thụyvi 天資嘉瑞 17년 티엔자바오흐우 1202년 8월 ~ 1205년 3월 Thiên Gia Bảo Hựuvi 天嘉寶祐 4년 찌빈롱응 1205년 3월 ~ 1210년 12월 Trị Bình Long Ứngvi 治平龍應 6년 리 혜종 끼엔자 1211년 1월 ~ 1224년 10월 Kiến Giavi 建嘉 14년 리 소황 티엔쯔엉흐우다오 1224년 10월 ~ 1225년 12월 Thiên Chương Hữu Đạovi 天彰有道 2년
6. 쩐 왕조 (陳朝)
황제 사용 기간 (음력) 연호 이름 베트남어 한자 년수 쩐 태종 1225년 12월 12일 ~ 1232년 7월 21일 끼엔쭝 Kiến Trung 建中 8년 쩐 태종 1232년 7월 22일 ~ 1251년 1월 30일 티엔응찐빈 Thiên Ứng Chính Bình 天應政平 20년 쩐 태종 1251년 2월 1일 ~ 1258년 2월 23일 응우옌퐁 Nguyên Phong 元豊 8년 쩐 성종 1258년 2월 24일 ~ 1272년 12월 29일 티에우롱 Thiệu Long 紹隆 15년 쩐 성종 1273년 1월 1일 ~ 1278년 12월 29일 바오푸 Bảo Phù 寶符 6년 쩐 인종 1279년 1월 1일 ~ 1285년 8월 29일 티에우바오 Thiệu Bảo 紹寶 7년 쩐 인종 1285년 9월 1일 ~ 1293년 3월 8일 쭝흥 Trùng Hưng 重興 9년 쩐 영종 1293년 3월 9일 ~ 1314년 3월 17일 흥롱 Hưng Long 興隆 22년 쩐 명종 1314년 3월 18일 ~ 1323년 12월 30일 다이카인 Đại Khánh 大慶 10년 쩐 명종 1324년 1월 1일 ~ 1329년 2월 14일 카이타이 Khai Thái 開泰 6년 쩐 헌종 1329년 2월 15일 ~ 1341년 8월 19일 카이흐우 Khai Hựu 開佑 13년 쩐 유종 1341년 8월 20일 ~ 1357년 12월 30일 티에우퐁 Thiệu Phong 紹豊 17년 쩐 유종 1358년 1월 1일 ~ 1369년 5월 24일 다이찌 Đại Trị 大治 12년 혼덕공 1369년 5월 25일 ~ 1370년 10월 25일 다이딘 Đại Định 大定 2년 쩐 예종 1370년 10월 26일 ~ 1372년 12월 29일 티에우카인 Thiệu Khánh 紹慶 3년 쩐 예종 1373년 1월 1일 ~ 1377년 1월 24일 롱카인 Long Khánh 隆慶 5년 영덕왕 1377년 1월 25일 ~ 1388년 11월 27일 쓰엉푸 Xương Phù 昌符 12년 쩐 순종 1388년 11월 28일 ~ 1398년 3월 14일 꽝타이 Quang Thái 光泰 11년 쩐 소제 1398년 3월 15일 ~ 1400년 2월 27일 끼엔떤 Kiến Tân 建新 3년
7. 호 왕조 (胡朝)
호한트엉은 1401년 음력 1월 1일(1월 14일)부터 1402년 음력 12월 30일(1403년 1월 22일)까지 티에우타인(Thiệu Thành, 紹成, 소성) 연호를, 1403년 음력 1월 1일(1월 23일)부터 1407년 음력 5월 20일(6월 25일)까지 카이다이(Khai Đại, 開大, 개대) 연호를 사용했다.[5]연호 사용 기간 (양력) 사용 기간 (음력) 베트남어 한자 년수 타인응우옌 1400년 1400년 음력 2월 28일 ~ 1400년 음력 12월 29일 Thánh Nguyên|타인응우옌vi 聖元 1년 티에우타인 1401년 ~ 1402년 1401년 음력 1월 1일 ~ 1402년 음력 12월 30일 Thiệu Thành|티에우타인vi 紹成 2년 카이다이 1403년 ~ 1407년 1403년 음력 1월 1일 ~ 1407년 음력 5월 20일 Khai Đại|카이다이vi 開大 5년
8. 후 쩐 왕조 (後陳朝)
군주 사용 기간(음력/양력) 연호 베트남어 한자 년수 간정제 1407년 음력 10월 2일(11월 1일) ~ 1409년 음력 3월 16일(4월 1일) 흥카인 Hưng Khánh 興慶 3년 중광제 1409년 음력 3월 17일(4월 2일) ~ 1413년 음력 11월 30일(12월 22일) 쭝꽝 Trùng Quang 重光 5년 쩐까오 1426년 음력 11월 ~ 1428년 음력 1월 10일 티엔카인 Thiên Khánh 天慶 2년
9. 후 레 왕조 (後黎朝)
이 외에도 팜 응옥(Phạm Ngọc)은 빈닌(Vĩnh Ninh, 1417–1420 CE), 레 응아(Lê Ngạ)는 빈티엔(Vĩnh Thiên, 1420 CE)이라는 자체적인 연호를 사용했다.
9. 1. 전기 (前期)
前黎朝vi는 레러이(Lê Lợi)가 명나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고 세운 왕조이다.
9. 2. 후기 (後期)
후기 레 왕조는 막 왕조와의 대립과 찐-응우옌 분쟁 등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었다. 이 시기 동안 여러 황제들이 즉위하고 다양한 연호가 사용되었다. 다음은 후기 레 왕조의 연호 목록이다.황제 | 사용 기간(음력) | 연호 | 베트남어 | 한자 | 년수 |
---|---|---|---|---|---|
레 장종(黎莊宗) | 1533년 1월 1일 ~ 1548년 12월 30일 | 응우옌호아 | Nguyên Hòa | 元和 | 16년 |
레 중종(黎中宗) | 1549년 1월 1일 ~ 1556년 12월 29일 | 투언빈 | Thuận Bình | 順平 | 8년 |
레 영종(黎英宗) | 1557년 1월 1일 ~ 1557년 12월 30일 | 티엔흐우 | Thiên Hựu | 天祐 | 1년 |
1558년 1월 1일 ~ 1571년 12월 29일 | 찐찌 | Chính Trị | 正治 | 14년 | |
1572년 1월 1일 ~ 1572년 12월 29일 | 홍푹 | Hồng Phúc | 洪福 | 1년 | |
레 세종(黎世宗) | 1573년 1월 1일 ~ 1577년 12월 30일 | 자타이 | Gia Thái | 嘉泰 | 5년 |
1578년 1월 1일 ~ 1599년 12월 30일 | 꽝흥 | Quang Hưng | 光興 | 22년 | |
레 경종(黎敬宗) | 1600년 1월 1일 ~ 1600년 10월 30일 | 턴득 | Thận Đức | 愼德 | 1년 |
1600년 11월 1일 ~ 1619년 5월 29일 | 호앙딘 | Hoằng Định | 弘定 | 20년 | |
레 신종(黎神宗) | 1619년 6월 1일 ~ 1629년 3월 29일 | 빈또 | Vĩnh Tộ | 永祚 | 11년 |
1629년 4월 1일 ~ 1635년 9월 30일 | 득롱 | Đức Long | 德隆 | 7년 | |
1635년 10월 1일 ~ 1643년 10월 30일 | 즈엉호아 | Dương Hòa | 陽和 | 9년 | |
레 진종(黎眞宗) | 1643년 11월 1일 ~ 1649년 9월 29일 | 푹타이 | Phúc Thái | 福泰 | 7년 |
레 신종(黎神宗) (복위) | 1649년 10월 1일 ~ 1653년 1월 30일 | 카인득 | Khánh Đức | 慶德 | 5년 |
1653년 2월 1일 ~ 1658년 1월 30일 | 틴득 | Thịnh Đức | 盛德 | 6년 | |
1658년 2월 1일 ~ 1662년 8월 30일 | 빈토 | Vĩnh Thọ | 永壽 | 5년 | |
1662년 9월 1일 ~ 1662년 12월 30일 | 반카인 | Vạn Khánh | 萬慶 | 1년 | |
레 현종(黎玄宗) | 1663년 1월 1일 ~ 1671년 12월 30일 | 까인찌 | Cảnh Trị | 景治 | 9년 |
레 가종(黎嘉宗) | 1672년 1월 1일 ~ 1674년 9월 29일 | 즈엉득 | Dương Đức | 陽德 | 4년 |
1674년 10월 1일 ~ 1675년 12월 30일 | 득응우옌 | Đức Nguyên | 德元 | 2년 | |
레 희종(黎熙宗) | 1676년 1월 1일 ~ 1680년 10월 14일 | 빈찌 | Vĩnh Trị | 永治 | 5년 |
1680년 10월 15일 ~ 1705년 4월 29일 | 찐호아 | Chính Hòa | 正和 | 26년 | |
레 유종(黎裕宗) | 1705년 5월 1일 ~ 1720년 6월 14일 | 빈틴 | Vĩnh Thịnh | 永盛 | 16년 |
1720년 6월 15일 ~ 1729년 4월 20일 | 바오타이 | Bảo Thái | 保泰 | 10년 | |
혼덕공(昏德公) | 1729년 4월 21일 ~ 1732년 8월 25일 | 빈카인 | Vĩnh Khánh | 永慶 | 4년 |
레 순종(黎純宗) | 1732년 8월 26일 ~ 1735년 4월 26일 | 롱득 | Long Đức | 龍德 | 4년 |
레 의종(黎懿宗) | 1735년 4월 27일 ~ 1740년 5월 20일 | 빈흐우 | Vĩnh Hựu | 永祐 | 6년 |
레 현종(黎顯宗) | 1740년 5월 21일 ~ 1786년 12월 30일 | 까인흥 | Cảnh Hưng | 景興 | 47년 |
레 민제(黎愍帝) | 1787년 1월 1일 ~ 1789년 1월 5일 | 찌에우통 | Chiêu Thống | 昭統 | 3년 |
이 외에도 팜 응옥(Phạm Ngọc), 레 응아(Lê Ngạ), 쩐까오(Trần Cao), 쩐쭝(Trần Cung), 레방(Lê Bảng), 레도(Lê Do) 등이 자체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했다.[5]
연호 | 사용 기간 | 비고 |
---|---|---|
빈닌(Vĩnh Ninh) | 1417–1420 CE | 팜 응옥 |
빈티엔(Vĩnh Thiên) | 1420 CE | 레 응아 |
티엔응(Thiên Ứng) | 1516년 | 쩐까오 |
뚜옌호아(Tuyên Hòa) | 1516–1521년 | 쩐쭝 |
다이득(Đại Đức) | 1518–1519년 | 레방 |
티엔히엔(Thiên Hiến) | 1519년 | 레도 |
10. 막 왕조 (莫朝)
莫朝vi는 후 레 왕조와 대립하며 베트남 북부를 통치했던 왕조이다. 다음은 막 왕조의 연호 일람이다.
군주 | 연호 | 베트남어 | 한자 | 사용 기간(음력) | 년수 | 비고 |
---|---|---|---|---|---|---|
막 태조 | 명덕 | Minh Đức | 明德 | 1527년 음력 5월 17일 ~ 1529년 음력 12월 29일 | 3년 | |
막 태종 | 대정 | Đại Chính | 大正 | 1530년 음력 1월 1일 ~ 1540년 음력 12월 30일 | 11년 | 후 레 왕조 부흥. 남북조시대 시작. |
막 헌종 | 광화 | Quảng Hòa | 廣和 | 1541년 음력 1월 1일 ~ 1546년 음력 12월 30일 | 6년 | |
막 선종 | 영정 | Vĩnh Định | 永定 | 1547년 음력 1월 1일 ~ 1548년 | 1년 | |
경력 | Cảnh Lịch | 景曆 | 1548년 ~ 1555년 | 8년 | ||
광보 | Quang Bảo | 光寶 | 1555년 ~ 1564년 | 10년 | ||
막 무합 | 순복 | Thuần Phúc | 淳福 | 1565년 ~ 1568년 | 4년 | |
숭강 | Sùng Khang | 崇康 | 1568년 ~ 1578년 | 11년 | ||
연성 | Diên Thành | 延成 | 1578년 ~ 1585년 | 8년 | ||
단태 | Đoan Thái | 端泰 | 1585년 ~ 1588년 | 4년 | ||
흥치 | Hưng Trị | 興治 | 1588년 ~ 1591년 | 4년 | ||
막 무합 | 홍녕 | Hồng Ninh | 洪寧 | 1591년 ~ 1592년 음력 12월 16일 | 2년 | 막 왕조의 실질적인 멸망. 이후 소수 정권으로 전락. |
막 전 | 무안 | Vũ Anh | 武安 | 1592년 음력 11월 25일 ~ 1592년 음력 12월 10일 | 1년 | |
막 경지 | 보정 | Bảo Định | 寶定 | 1592년 음력 12월 10일 ~ 1592년 음력 12월 30일 | 1년 | |
강우 | Khang Hựu | 康佑 | 1593년 음력 1월 1일 ~ 1593년 음력 3월 | 1년 | ||
막 경공 | 건통 | Kiền Thống | 乾統 | 1593년 음력 3월 ~ 1625년 음력 6월 16일 | 33년 | |
막 경관 | 융태 | Long Thái | 隆泰 | 1618년 음력 7월 ~ 1625년 음력 6월 | 8년 | |
막 경우 | 순덕 | Thuận Đức | 順德 | 1638년 음력 11월 ~ 1677년 음력 12월 | 40년 | 막 왕조의 멸망. 청나라의 속국화 됨.[5] |
11. 떠이선 왕조 (西山朝)
떠이선 왕조는 농민 반란을 통해 세워진 왕조로,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베트남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황제 | 사용 기간 (음력/양력) | 연호 이름 | 베트남어 | 한글 | 한자 | 햇수 | 비고 |
---|---|---|---|---|---|---|---|
태덕제 | 1778년 음력 2월 18일(3월 21일) ~ 1793년 음력 12월 29일(1794년 1월 30일) | 타이득 | Thái Đức | 태덕 | 泰德 | 16년 | 꾸이년 정권의 연호. |
광중제 | 1788년 음력 12월 25일(1889년 1월 20일) ~ 1792년 음력 12월 30일(1793년 2월 10일) | 꽝쭝 | Quang Trung | 광중 | 光中 | 5년 | 후 레 왕조의 멸망. 푸쑤언 정권의 연호. |
경성제 | 1793년 음력 1월 1일(2월 11일) ~ 1801년 음력 5월 30일(7월 10일) | 까인틴 | Cảnh Thịnh | 경성 | 景盛 | 9년 | |
1801년 음력 6월 1일(7월 11일) ~ 1802년 음력 5월 2일(6월 1일) | 바오흥 | Bảo Hưng | 보흥 | 寶興 | 2년 |
12. 응우옌 왕조 (阮朝)
응우옌 왕조는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로,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다.[5]
황제 | 사용 기간(음력/양력) | 연호 | 베트남어 | 한자 | 년수 | 비고 |
---|---|---|---|---|---|---|
가륭제 | 1802년 5월 2일(6월 1일) - 1819년 12월 29일(1920년 2월 13일) | 자롱 | Gia Long | 嘉隆 | 18년 | |
명명제 | 1820년 1월 1일(2월 14일) - 1840년 12월 28일(1841년 1월 22일) | 민망 | Minh Mạng | 明命 | 21년 | |
소치제 | 1841년 1월 1일(1월 23일) - 1847년 12월 30일(2월 4일) | 티에우찌 | Thiệu Trị | 紹治 | 7년 | |
사덕제 | 1848년 1월 1일(2월 5일) - 1883년 12월 30일(1884년 1월 27일) | 뜨뜩 | Tự Ðức | 嗣德 | 36년 | |
협화제 | (미개원) | 히엡호아 | Hiệp Hoà | 協和 | 개원 하기 전에 암살(폐위). | |
건복제 | 1884년 1월 1일(1월 28일) - 1884년 12월 30일(1885년 2월 14일) | 끼엔푹 | Kiến Phúc | 建福 | 1년 | |
함의제 | 1885년 1월 1일(2월 15일) - 1885년 8월 10일(9월 18일)(조정) 1888년 12월 29일(1889년 1월 30일)(반불) | 함응이 | Hàm Nghi | 咸宜 | 1년 | 프랑스에 의한 폐위. 1888년에 알제리로 유배. |
동경제 | 1885년 8월 11일(9월 19일) - 1888년 12월 29일(1889년 1월 31일) | 동카인 | Ðồng Khánh | 同慶 | 4년 | 개원 당년에 을유년(乙酉年)이라 칭하고 유년에 원년을 칭함. |
성태제 | 1889년 1월 1일(2월 1일) - 1907년 7월 27일(9월 4일) | 타인타이 | Thành Thái | 成泰 | 19년 | 프랑스에 의한 폐위. |
유신제 | 1907년 7월 28일(9월 5일) - 1916년 4월 16일(5월 17일) | 주이떤 | Duy Tân | 維新 | 10년 | 프랑스에 의한 폐위. |
계정제 | 1916년 4월 17일(5월 18일) - 1925년 12월 30일(1926년 2월 12일) | 카이딘 | Khải Ðịnh | 啓定 | 10년 | |
보대제 | 1926년 1월 1일(2월 13일) - 1945년 7월 23일(8월 30일) | 바오다이 | Bảo Đại | 保大 | 20년 | 8월 혁명으로 인한 왕조 붕괴. |
13. 현대 베트남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 이후 공식적으로 연호는 폐지되고 서력 기원을 사용하고 있다.[7] 베트남 민주 공화국 초기에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라는 표현이 연호처럼 사용되기도 했으나, 1967년부터는 '꽁응우옌(Công Nguyên)' 즉, 서력 기원만을 사용하고 있다.
13. 1. 베트남 민주 공화국 (호치민)
연호 | 사용 기간 | 사용 기간 | 비고 |
---|---|---|---|
베트남 민주 공화국 (호찌민) | |||
베트남 민주 공화국越南民主共和vi | 1945년~1967년 | 22년 | 베트남 민주 공화국 초기에 사용되었다.[7] 1954년부터 꽁응우옌(Công Nguyên, 서력 기원)과 함께 사용되었다. |
13. 2. 베트남 민주 공화국 및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연호 | 사용 기간 | 사용 기간 | 비고 |
---|---|---|---|
베트남 민주 공화국 (호찌민) | |||
베트남 민주 공화국越南民主共和|월남 민주 공화vi | 1945년~1967년 | 22년 | 베트남 민주 공화국 초기에 사용되었다.[7] 1954년부터 Công Nguyên (서력 기원)과 함께 사용되었다. |
베트남 민주 공화국 및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
Công Nguyên | 1967년~현재 | 현재 | "Công Nguyên"은 베트남어로 "서력 기원"을 의미한다. |
참조
[1]
서적
Power of the words: Chen prophecy in Chinese politics, AD 265-618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
서적
Making Sense of Global History: The 19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Historical Sciences, Oslo 2000, Commemorative Volume
https://books.google[...]
Universitetsforlaget
[3]
서적
International Congress of Historical Sci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slo
2019-12-29
[4]
웹사이트
Ancient tradition carries forward with Japan's new era
https://asia.nikkei.[...]
2019-12-29
[5]
웹사이트
Bảng tra niên đại các triều vua Việt Nam
http://www.hannom.or[...]
Hán Nôm Institute
2008-02-25
[6]
문서
Revolutionary bonds issued by Republic of Annam
[7]
웹사이트
Cứu Quốc 27 Tháng Tám 1946 — Thư viện báo chí của Thư viện Quốc gia Việt Nam
http://baochi.nlv.go[...]
National Library of Vietnam
2023-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